Spring/Cloud

[Spring Cloud] Software Architecture

RoyOps 2022. 5. 10. 16:54

이번 장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를 알아보기 위해 IT System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 1960 ~ 1980s(Fragile, Cowboys): 소프트웨어보다 하드웨어 사양에 맞춰서 개발하던 시절이다. 하드웨어나 시스템이 고가였기 때문이다.
    이 때는 Fragile이라는 "깨지기 쉬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1990 ~ 2000s(Robust, Distributed): 안정화되고 분산화된 시스템 덕분에 안정성있고 성능이 높은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 2010s ~ (Resilient/Anti-Fragile, Cloud Native): 안정화되고 Fragile과 반대되는 Anti-Fragile 성향과 Cloud Native라는 키워드가 등장한다.
    지속적인 변경과 개선이 발생하더라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변경되었다.

Anti-Fragile 키워드부터 DevOps라는 문화가 생겨났고 아키텍쳐에 있어서는 Cloud Native로 전환된 시기로 볼 수 있다.
Anti-Fragile의 경우 변화가 적고 비용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Anti-Fragile

Anti-Fragile에는 크게 Auto scaling, Microservices, Chaos engineering, Continuous deployments라는 특징이 있다.
하나씩 어떠한 특징인지 알아보도록 한다.

Auto scaling

Auto Scaling은 자동 확장성을 갖는 특징을 갖는다.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인스턴스를 하나의 Auto Scaling Group으로 묶어서 유지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인스턴스를 지정한다.
또한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인스턴스의 갯수도 지정할 수 있다.
고객의 요청이 늘어나는 특별한 시점에만 인스턴스가 늘어나서 많아진 트래픽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된 확장이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이 리소스 사용량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Microservices

위의 그림은 Netflix사의 마이크로서비스 구성도다.
복잡하게 나뉘어진 서비스의 구성이 마이크로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연두색 노드는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를 의미하며 파란색 간선은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통신을 의미하고 있다.
Netflix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구축하는 많은 기술들이 초창기 Spring Cloud에 많은 부분 기부되었다.
MicroservicesCloud Native 서비스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Chaos engineering

Chaos engineering이란 시스템이 급격하고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라도 견딜 수 있고 신뢰성을 쌓기 위해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시스템의 변동이나 예견된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Continuous deployments

Continuous deploymentsCI/CD와 같은 배포 파이프라인을 예로 들 수 있다.
CI/CD는 지속적인 통합, 지속적인 배포로 해석할 수 있으며 Cloud Native 시스템의 경우 많으면 수백개 이상의 도메인으로 분리되어 동작하는게 일반적이다.
이렇게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수없이 많은 서비스를 수작업으로 빌드하고 배포하는 것은 하나의 커다란 작업이 되어버리며 사실상 불가능하다.
Cintinuous deployments를 통해서 우리가 만든 코드들이 자동으로 통합되고 지속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 형태로 배포되게 된다.


Cloud Native Architecture

2010s부터 IT SystemCloud Native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Cloud Native Architecture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

    • 시스템의 수평적인 확장에 유연하다.
    • 확장된 서버로 시스템의 부하 분산이 가능하며 고가용성 유지가 용이하다.
    •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패키징이 가능하다.
    • 하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수많은 서비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탄력적 아키텍처

    • 서비스의 생성 -> 통합 -> 배포가 자동화되면서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대응 시간이 단축된다.
    • 서비스의 특성별로 분할된 서비스 구조로 설계가 가능하다.
    • 상태를 갖지 않는 서비스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분산된 마이크로서비스들은 자신이 추가될 때 어디에서 실행 중인지 등록하여 다른 서비스에서 동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서비스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의 요청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 장애 격리(Fault Isolation)

    • 특정 서비스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한다.

Cloud Native Application

Cloud Native Architecture에 의해 구현되고 설계된 애플리케이션을 Cloud Native Application이라고 한다.
Cloud Native ApplicationAnti-Fragile이나 Cloud Native Architecture의 특성을 가지고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마이크로서비스로 개발된다.
  2. CI/CD 파이프라인에 의해 통합되고 배포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3. DevOps에 의해 서비스가 구현, 테스트, 배포되는 과정을 시스템이 종료될 때까지 무한 반복한다.
  4. 마이크로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컨테이너 가상화라는 기술이 사용된다.

CI/CD

CI(Continuous Integration): 통합 서버를 여러 팀에서 관리할 때 하나의 프로젝트로 지속적으로 통합되고 빌드 및 테스트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툴로는 Jenkins, Team CI, Travis CI가 있다.

CD(Continuous Delivery or Deployment): 지속적인 전달과 지속적인 배포로 볼 수 있으며 CI된 결과물이 목적지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어 배포됨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배포 방식으로는 카나리 배포블루그린 배포가 있다.


DevOps

DevOps는 개발을 뜻하는 Development와 운영을 의미하는 Operations이 합쳐진 의미로 개발조직과 운영조직의 통합을 의미한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반영하고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기존에는 고객의 니즈에 맞게 시스템을 구현 -> 서비스 구축 -> 배포과정을 거쳐서 시스템 구현을 마무리하게 되며 이러한 방식은 오랜 기간이 필요하며 요구사항과 변경사항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고객의 요구사항은 언제든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 언제든 변경되고 성공적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많은 회사들에서 DevOps를 도입하고 있다.


Container 가상화

가상화는 Container Architecture의 핵심이다.
로컬 환경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하여 탄력성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 배경에는 Container 가상화기술이 있다.
Container 가상화 기술은 하드웨어 가상화 또는 서버 가상화에 비해 적은 리소스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12 Factors

Cloud Native Application을 구축함에 있어서 고려해야하는 12 Factors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코드베이스: 버전 관리되는 하나의 코드베이스와 다양한 배포
    12 Factors를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은 Git과 같은 버전 컨트롤 시스템 저장소에 의해 변화를 추적해야한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베이스는 한개여야 하지만 여러개의 환경(Production, Development 등)에 맞게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1. 종속성: 명시적으로 선언되고 분리된 종속성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자체 종속성을 가지고 패키징되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변경될 수 있어야한다.

  2. 설정: 환경(environment)에 저장된 설정
    코드 외부에서 구성 관리도구를 통해서 마이크로서비스의 구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3. 백엔드 서비스: 백엔드 서비스를 연결된 리소스로 취급
    DB와 캐싱, MQ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가 가져야 할 추가기능을 연동할 수 있어야한다.

  1. 빌드, 릴리즈, 실행: 코드베이스는 3단계에 거쳐 배포로 변환되어야 한다.
  • 빌드: 코드 저장소를 빌드라는 실행 가능한 번들로 변환시키는 단계. 빌드 단계에서는 커밋된 코드 중 배포 프로세스에서 지정된 버전을 사용하며, 종속성을 가져와 바이너리와 에셋들을 컴파일한다.
  • 릴리즈: 빌드 단계에서 만들어진 빌드와 배포의 현재 설정을 결합한다. 완성된 릴리즈는 빌드와 설정을 모두 포함하며 실행 환경에서 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 실행(Runtime): 선택된 릴리즈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집합을 시작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환경에서 돌아가도록 한다.

  1. 프로세스: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혹은 여러개의 무상태(stateless) 프로세스로 실행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들은 동시에 실행중인 다른 마이크로서비스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어야한다. 필요한 자원이 있다면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서 동기화를 진행해야 한다.

  2. 포트 바인딩: 포트 바인딩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공개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는 자체 포트에서 노출되는 인터페이스 및 기능과 함께 노출된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기다려야 한다.

  3. 동시성(Concurrency): 프로세스 모델을 통한 확장.
    동일한 마이크로서비스가 여러 인스턴스로 부하 분산되어 동시성을 가지고 동일하게 작동해야 한다.

  1. 폐기 가능(Disposability): 빠른 시작과 graceful shutdown을 통한 안정성 극대화.
    마이크로서비스는 SIGTERM 신호를 받았을 때 graceful shutdown을 해야한다. 즉 서비스 포트의 수신을 중지하고 이전에 들어온 요청은 모두 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2. dev/prod 일치: Development, Staging, Production 환경을 최대한 비슷하게 유지.
    Development환경과 Production환경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시간의 차이: 개발자가 작업한 코드는 Production에 반영되기까지 며칠에서 때로는 몇개월까지 걸릴 수 있다.
  • 담당자의 차이: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개발자가 아닌 시스템 엔지니어가 배포한다.
  • 툴의 차이: 예를 들어 Production이 배포되는 서버는 Linux환경이지만 개발자가 개발하는 환경은 macOS다.
  1. 로그: 로그를 이벤트 스트림으로 취급
    Production이나 Staging의 경우 각 프로세스의 로그 스트림은 수집된 후 보관을 위해 하나 이상의 쵲오 목적지로 전달되어야 한다.

  2. Admin 프로세스: admin/maintenance 작업을 일회성 프로세스로 실행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모든 마이크로서비스들을 어떠한 상태인지 파악하기 위한 관리도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Spring을 개발하고 있는 Pivotal Software사에서 세 가지를 추가하였다.

  1. API first: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API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2. Telemetry: 마이크로서비스들의 모든 지표는 시각화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3.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API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과 인가는 필수작업이 되어야 한다.


참고한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