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decommit

(5)
[DOP] Code Series (SDLC Automation) Code Series 이번 장에서는 DevOps Engineer Professional (DOP) 을 준비하며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SDLC)와 관련된 AWS 코드 시리즈 서비스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CI/CD CI/CD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배포를 진행하게 된다. AWS 기본 리소스를 수동으로 생성한다. AWS CLI를 통해서 AWS와 프로그래밍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하여 AWS에 코드를 배포한다. 이렇게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 많은 경우 휴먼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의 코드가 리포지토리에 있고 이 코드가 AWS에 배포되기를 원하며 아래와 같은 요구사항이 있다. 자동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올바른 방법으로 배포한다. 배포..
[SAP] Other Services Other Services 이번 장에서는 Solutions Architect Professional (SAP) 을 준비하며 "기타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CI/CD Continuous Integration 개발자들은 코드 저장소로 코드를 자주 푸시한다. (GitHub / CodeCommit / Bitbucket 등..) 테스트 / 빌드 서버는 코드를 푸시하자마자 코드를 확인한다. (CodeBuild / Jenkins CI 등..) 개발자는 통과/실패한 테스트 및 점검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버그를 조기에 찾아내고 버그를 수정할 수 있다. 코드 테스트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자주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Continuous Delivery 필요할 때마다 소프트웨어를 안정적..
[SAP] Deployment & Instance Management Deployment & Instance Management 이번 장에서는 Solutions Architect Professional (SAP) 을 준비하며 "배포와 인스턴스 관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AWS Elastic Beanstalk Elastic Beanstalk는 AWS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개발자 중심적인 관점이다. AWS의 많은 요소들을 사용한다. EC2, Auto Scaling Group, Elastic Load Balancer, RDS 등.. 많은 요소들을 하나의 관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 하나의 관점을 바라보지만 각 구성 요소들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Beanstalk에 대한 사용료는 지불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 ..
[AWS] Developer Kit Services 개발자 도구(Developer Kit) 최초 작성 일자: 2023-03-21 수정 내역: 2023-03-21: 최초 작성 Amazon CodeCatalyst AWS에서 더 신속한 개발과 전송을 위한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AWS에서의 계획, 개발, 제공 수명 주기를 가속화 사용 이유 소스 코드에서 서비스 구성까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것이 포함된 청사진을 사용하여 몇 분 내에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프로젝트에 맞춰 완전히 구성되고 널리 사용되는 IDE로 작업할 수 있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발 환경을 빠르게 생성한다. 지속적 통합 및 전달(CI/CD) 파이프라인을 쉽게 정의하고 이를 자동으로 확장 가능한 관리형 컴퓨팅 환경에서 실행한다. 통합형 활동 피드, 실시간 알림, ..
[Git] Git Repository Git Repository 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깃 리포지토리 서비스를 알아본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는 GitHub, GitLab이 있으며 AWS에게 완전관리를 받는 CodeCommit까지 알아보도록 한다. 깃(Git) 깃은 소스 코드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결국 여러 명의 사용자의 코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깃 리포지토리라고 하는 원격 저장소 서비스가 필요하다. 우리는 이번 장에서 깃 리포지토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리의 서비스에 맞는 서비스를 선정해보도록 한다.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깃 리포지토리의 종류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면 고민없이 압도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GitHub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