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rastructure/Cloud Computing

[AWS] Lightsail

호스팅이란?

인터넷상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사이트나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장치, 인터넷 회선을 운영하지 않고, 서버를 임대하거나 웹 서비스에 필요한 웹(WWW) 공간을 임대(Hosting)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호스팅 서비스(Hosting Service)라고 한다. 규모가 큰 웹 페이지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라면 직접 회사에서 IDC를 구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서비스의 규모가 작은 회사의 경우 IDC를 구축하기 위한 자본과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직접 IDC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보다 호스팅 업체를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 운영이 가능해진다.

그림 1, 전통적인 웹 호스팅 아키텍쳐

호스팅의 유형

호스팅 서비스는 사용하는 유형과 서버/회선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웹 호스팅: 웹 서비스에 필요한 간단한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대의 웹 사이트를 한 서버에 공용 호스팅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다. 하지만 오버셀링에 취약한 편이며, 쉽게 관리가 가능하지만 하나의 서비스가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면 같은 공간의 다른 서비스들도 영향을 받게 된다. 물론 단독 웹 호스팅을 사용하면 독립된 영역에서 실행되어 다른 사용자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비싼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메일 호스팅: 메일을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을 임대하는 서비스다. Gmail, gmail.com 처럼 메일 주소가 정해져 있는 곳과 달리, 대부분은 사용자가 도메인을 직접 구매하고 연결하여 이메일을 만드는 식으로 제공된다. 스팸 메일이나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하여 메일 서버를 직접 구축할 때 신경써야 하는 사항이 인터넷 초창기에 비하여 많아졌기 때문에 직접 회사에서 메일 서버를 운영하는 것보다 메일 호스팅을 사용하는 것이 많은 부분에서 이점이 있다. 메일 호스팅은 크게 웹 메일과 아웃룩 메일로 나눌 수 있다.

파일 서버 호스팅: 일반 웹 호스팅의 경우 OS별로 다양한 프로그램 구현이 가능하다. 파일 서버 호스팅의 경우 특정한 파일이나 이미지만 서비스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이런 서비스는 웹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고 이미지만 등록하면 상품을 팔 수 있는 쿠팡, 11번가 같은 사이트가 생겨나면서 가능해졌다. 미디어 서버의 공간을 제공해 주는 스트리밍 호스팅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쇼핑몰 호스팅: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도록 서버 공간과 쇼핑몰 프로그램 및 결제 시스템 등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다. 인터넷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을 만들 때 필요한 상품 등록, 검색, 주문, 결제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구성하여 '솔루션 + 웹 호스팅'을 제공하여 인터넷 쇼핑몰을 구축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서버 호스팅: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버를 임대/구매하는 방식으로 한 대의 서버를 전부 빌리는 방법이다. 서비스의 사용자가 많거나 용량이 많이 필요한 경우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서버 한 대를 자신의 서비스로 채우기 때문에 용량이나 트래픽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 전용 호스팅(Dedicated Hosting): 인터넷 서비스를 하기 위한 서버와 회선을 임대하는 서비스다. 일반 웹 호스팅은 서버 내의 일정한 공간을 임대해 주지만 서버 임대는 서버를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준다. 사용량에 따라 회선도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며 서버 사양에 따라 가격이 각기 다르며 소유권을 이전하느냐 하지 않는냐에 따라 차이를 두기도 한다.

- 코로케이션(Colocation):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서버를 직접 IDC에 입주시켜 운영해 주는 서비스다. 인터넷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인터넷망에 연결해야 하는데 이를 직접 구성하기에는 전원, 회선, 방재등 고려해야하는 부분이 많다. 이러한 장비가 이미 준비되어 있는 IDC에 자신의 서버를 입주시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받을 수 있다.

트래픽이란?

트래픽(Traffic)이란 사이트 접속 시 방문자에게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의 총량을 의미한다. 웹 페이지를 보거나 음악, 동영상 파일 재생 또는 다운로드 할 때 발생한다. 용량 단위로 표현하지만 하드디스크나 데이터베이스의 공간을 나타내는 물리적 용량과는 다르다. 텍스트와 이미지로 이루어진 1MB 용량의 웹 페이지를 1,000명이 본다면 1,000MB의 트래픽이 발생한다. 만약 일일 허용 트래픽이 1,000MB 호스팅 상품을 사용한다면 호스팅 업체가 정한 제한 정책이 적용된다.

트래픽 제한 정책: 웹 호스팅은 한 대의 서버를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여러명이 저렴한 비용으로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 간에 지켜야 할 규칙이 있으며, 그중 트래픽 사용량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이다. 서버 한 대에 할당된 트래픽을 공정하게 분배하여 서버를 공동 사용하는 모든 사이트가 원활히 서비스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호스팅 업체의 의무이며 웹 호스팅 고객 역시 과도한 트래픽이 다른 사이트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한다.

트래픽 초기화: 일반적인 웹 호스팅 트래픽은 매일 자정(00시)에 자동 갱신되며, 트래픽 초과로 사이트 접속이 차단되어도 자정이 지나면 자동으로 다시 열린다. 일일 허용 트래픽을 초과하지 않고 남은 용량이 있더라도 다음 날로 넘어가지 않고 초기화된다. 트래픽이 초기화되기 전 계약된 일일 트래픽 전송량의 110%에 도달하면 사이트가 차단된다.

그림 2

지금까지 호스팅과 트래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트래픽에서 살펴 본 것처럼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면 계약한 트래픽 용량 이상의 트래픽을 사용할 수 없다. 만약 주말에 트래픽이 몰리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라면 주말에 몰려올 트래픽을 대비하여 계약을 해야하고 평일에는 트래픽이 남아돌게 될 것이다. 이렇게 사용하지 않는 트래픽이 누적되어 불필요한 지출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AWS 서비스를 사용하면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다.


Lightsail이란?

Amazon Lightsail은 간단한 가상화 프라이빗(Virtual Private Server, 이하 VPS)가 필요한 개발자에게 웹 사이트와 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기능과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몇 번의 클릭만으로도 SSD 기반의 스토리지 서비스와 DNS 관리 기능, 정적 IP 주소를 갖는 서버를 만들 수 있으며, 원하는 운영체제, 개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인 트래픽을 기반으로 저렴한 비용의 VPS 서비스를 제공한다.

Lightsail의 특징: Amazon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생성해야 하지만 Lightsail의 경우 프로젝트를 빠르게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비스(가상 머신, SSD 기반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 DNS 관리, 고정IP)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Lightsail은 몇몇 가상 프라이빗 서버와 간단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선호하는 개발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다. 비용 또한 EC2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저렴한 비용(EC2 인스턴스가 24시간 작동한다는 가정하에)으로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EC2와 비교하여 제약사항이 많으므로 자신의 서비스와 성향이 맞는지 확인해봐야한다.

그림 3, Lightsail 가격

그림 4, Lightsail vs EC2

이 글은 아마존 웹 서비스 AWS Discovery Book 도서와 AWS 공식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이미지 출처:

'Infrastructure > Cloud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Computing] 다중 플랫폼 사용에 대한 고찰  (0) 2022.04.04
[AWS] Reserved Instance  (0) 2022.02.28
[AWS] IAM  (0) 2022.02.18
[AWS] CloudFront  (0) 2022.02.18
[AWS] Auto Scaling  (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