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rastructure/Cloud Computing

(27)
[AWS] Lightsail 호스팅이란? 인터넷상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사이트나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장치, 인터넷 회선을 운영하지 않고, 서버를 임대하거나 웹 서비스에 필요한 웹(WWW) 공간을 임대(Hosting)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호스팅 서비스(Hosting Service)라고 한다. 규모가 큰 웹 페이지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라면 직접 회사에서 IDC를 구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서비스의 규모가 작은 회사의 경우 IDC를 구축하기 위한 자본과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직접 IDC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보다 호스팅 업체를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 운영이 가능해진다. 그림 1, 전통적인 웹 호스팅 아키텍쳐 호스팅의 유형 호스팅 서비스는 사용하는 유형과 서버/회선..
[AWS] IAM IAM이란?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이란 Amazon에서 통합 계정 관리를 지칭하는 말이다. AWS 계정을 생성하면 Root 사용자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Root 사용자는 AWS의 모든 서비스 및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가지며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는다. 커다란 IT부서에서 모두가 Root 사용자 계정으로 작업을 진행한다면 문제 발생의 가능성에 항상 문을 열어두고 있는 것이며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어떠한 팀에서 발생시킨 문제인지 추적도 힘들어진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IAM이다. 그림1 계정 관리 시스템의 종류 회사 내 시스템에 대한 통합 권한 관리 솔루션은 SSO, EAM, IAM으로 분류할 수 있다. SSO(Single-Sign-O..
[AWS] CloudFront CDN이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or Contents Distribution Network)은 클라이언트에게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주요 ISP(Internet Services Provider)의 CDN 서버에 콘텐츠를 분산시키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가장 가까운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도록 하여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더 빠르게 자신의 요청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Netflix의 본사는 미국에 있지만 우리는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였을 때 바로 영상이 시청이 가능하다. 이러한 응답속도 또한 CDN을 통한 결과물이다. 그림1,..
[AWS] Auto Scaling 가용성과 확장성이란 가용성(Availability)이란, 시스템이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가동 및 실행되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가용성이 높다는 것은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9'로 측정한다. 예를 들어 가용성 비율이 99.99%라는 것은 0.01%비율로 중단되었다는 의미이며 1년(59,808시간)동안 서비스가 52.56분 중단된다는 의미이다. 가동성 비율과 가동 중지 시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표가 나온다. 가동성 비율 가동 중지 시간 90% 876시간 95% 438시간 99% 87.6시간 99.9% 8.76시간 99.99% 52.56분 99.999% 5.256분 확장성(Scalability)란,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는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AWS] ELB 로드 밸런싱이란?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이란 네트워크 트래픽을 하나 이상의 서버나 장비로 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이렇게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라고 한다. 로드 밸런싱을 통해 인터넷 트래픽을 여러 장비로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림1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트래픽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한다. 1. Scale Up을 통하여 리소스(CPU, Memory, Disk)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기존보다 높은 성능으로 업그레이드 하여 증가한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만약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인스턴스의 사양만 증가시킨다면 여전히 고가용성을 유지..
[AWS] Route53 DNS란? DNS(Domain Name System)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을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에서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은 IP 주소를 가지고 서로를 찾아가며 통신한다. 만약 DNS가 없다면 우리는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223.130.200.104"를 입력해서 네이버에 접속해야한다. 실제로 IP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해도 네이버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1 DNS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기억하기 힘들고 긴 IP주소 대신에 "naver.com"이라는 비교적 기억하기 쉬운 주소만 기억하면 되는 것이다. DNS 구성 인터넷 도메인 체계의 최상위는 루트(Root)로 인터넷 도메인의 시작점이 된..
[AWS] RDS RDS란?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s)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설정, 백업과 같은 작업을 자동화하여 비용 효율적이가 가변 크기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RDS를 사용하는 조직은 빠른 성능, 고가용성, 보안 및 호환성을 RDS를 통해 제공받으면서 비즈니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AWS의 DMS(Database Migration Service)를 사용하면 서비스 중단없이 사용 중이던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여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운영 중이던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 중단없이 클라우드 환경..
[AWS] Network Network는 Net(촘촘하겨 연결되어 있는) + Work(일)의 합성어로 연결되어 서로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결합하여 생산적인 가치를 만드는 일을 의미한다. '네트워킹을 한다 = 서로 통신(Communication)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통신(Communication)을 할 것인지 약속을 해야하는데 이렇게 지켜져야하는 약속들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VPN이란? 그림1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큰 규모의 조직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PC를 연결하는 보안성이 높은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를 만들거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원격지 간에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고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