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structure (251) 썸네일형 리스트형 [HTTP] 기본 HTTP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본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W3(www, world wide web)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하고 있다. HTTP 역사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무조건 HTML문서였다. HTTP/1.0 1996년: 메소드와 헤더 필드를 통한 효율적인 보안 프로토콜로 업데이트 되었다.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보편화되어 있는 버전이다. 이후의 버전들은 1.1버전에서 성능만 개선되었으므로 가장 중요한 버전으로 불린다. RFC2068(1997) -> RFC2616(1999) -> RFC72.. [URI] URI와 WebBrowser URI가 무엇인지 또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본다. WebBrowser가 URI를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통신하는지 알아본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 우편물의 주소같은 역할을 하며 정보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URI는 URL, URN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통합 자원 지시자) 서버의 한 리소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를 표현한다. URL은 리소스의 정확한 위치와 접근 가능 유무를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많이 접하는 google.com, naver.com이 URL이다. URN(Uniform Resource name, 통합 자원 이름) 서버의 한 리소스에 대해 고유한 이름을 부.. [Protocol] 인터넷 통신 HTTP를 알아보기전에 인터넷 통신에 대해서 알아본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IP(Internet Protocol) TCP, UDP PORT DNS IP (인터넷 프로토콜 역할) 인터넷 통신을 하기 위한 모든 노드(클라이언트, 서버...)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IP의 역할을 아래와 같다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IP 패킷에는 대표적으로 출발지 IP, 목적지 IP, 전송 데이터로 이루어져 데이터를 전달할 때 패킷에 명시되어 있는 목적지 IP 주소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하지만 이러한 IP 프로토콜에도 아래와 같은 한계점이 있다. 비연결성 비신뢰성 프로그램 구분 불가 하나씩 무엇을 뜻하.. 이전 1 ··· 29 30 31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