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rastructure

(251)
[AWS] ELB 로드 밸런싱이란?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이란 네트워크 트래픽을 하나 이상의 서버나 장비로 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이렇게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라고 한다. 로드 밸런싱을 통해 인터넷 트래픽을 여러 장비로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림1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트래픽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한다. 1. Scale Up을 통하여 리소스(CPU, Memory, Disk)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기존보다 높은 성능으로 업그레이드 하여 증가한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만약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인스턴스의 사양만 증가시킨다면 여전히 고가용성을 유지..
[AWS] Route53 DNS란? DNS(Domain Name System)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을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에서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은 IP 주소를 가지고 서로를 찾아가며 통신한다. 만약 DNS가 없다면 우리는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223.130.200.104"를 입력해서 네이버에 접속해야한다. 실제로 IP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해도 네이버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1 DNS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기억하기 힘들고 긴 IP주소 대신에 "naver.com"이라는 비교적 기억하기 쉬운 주소만 기억하면 되는 것이다. DNS 구성 인터넷 도메인 체계의 최상위는 루트(Root)로 인터넷 도메인의 시작점이 된..
[AWS] RDS RDS란?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s)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설정, 백업과 같은 작업을 자동화하여 비용 효율적이가 가변 크기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RDS를 사용하는 조직은 빠른 성능, 고가용성, 보안 및 호환성을 RDS를 통해 제공받으면서 비즈니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AWS의 DMS(Database Migration Service)를 사용하면 서비스 중단없이 사용 중이던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여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운영 중이던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 중단없이 클라우드 환경..
[AWS] Network Network는 Net(촘촘하겨 연결되어 있는) + Work(일)의 합성어로 연결되어 서로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결합하여 생산적인 가치를 만드는 일을 의미한다. '네트워킹을 한다 = 서로 통신(Communication)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통신(Communication)을 할 것인지 약속을 해야하는데 이렇게 지켜져야하는 약속들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VPN이란? 그림1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큰 규모의 조직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PC를 연결하는 보안성이 높은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를 만들거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원격지 간에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고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보..
[AWS] S3 관련 용어 스토리지(storage):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이때 서버에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DAS(Direct Attached Storage)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SAN(Storage Area Network)가 있다. NAS는 스토리지를 LAN(Local Area Network)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비용이 저렴하다. SAN은 대구모 엔터프라이즈 환경을 구성하기 적합한 스토리지로 확장성이 높다. 데이터 백업(Data Backup):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데이터를 다른 곳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AWS에서 대표..
[AWS] EC2 이번 장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 컴퓨팅 용량인 EC2(Elastic Compute Cloud)와 EC2를 사용하기 위한 개념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클라우드 용어 AWS에서는 전세계의 주요 지역에 IDC(Internet Data Center)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림1 AWS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환경을 크게 리전(Region), 가용 영역(Avaliability Zone),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으로 구분한다. 리전(Region): AWS가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다. 한국의 서울 리전은 2016년 1월 28일에 오픈되었다. 가용 영역(Availibility Zone, AZ): AWS리전의 중복 전력, ..
[AWS]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활용한 컴퓨팅 서비스의 하나로 PC(Personal Computer)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의 컴퓨터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한마디로 "나의 컴퓨터가 아닌 원격지의 컴퓨터와 저장소를 빌려 사용할 수 있는 IT 서비스"다.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림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클라우드 IT의 기본 빌딩 블록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네트워킹 기능, 컴퓨터(가상 또는 전용 하드웨어) 및 데이터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한다. IaaS는 IT 리소스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관리 제어를 제공한다. 요약하면 물리적 서버 및 저장소 등을 가상화하여 다수의 고객을 대상..
[HTTP] 헤더 - 4 (쿠키) 쿠키의 사용 이유와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하이퍼 텍스트의 기록서(HTTP)의 일종으로서 인터넷 사용자가 어떠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를 통해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을 일컫는다. HTTP는 무상태 (Stateless) 프로토콜이므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으면 연결이 끊어진다. 클라이언트가 다시 요청을 시도할 때 서버는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한다. 이러한 무상태성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쿠키를 사용한다. 만약 쿠키를 사용하지 않고 요청을 한다면 모든 요청의 query parameter나 request body에 사용자 정보가 추가되야한다. GET /car?user={사용자 정보} HTTP/1.1 POST ..